에 대한 반론
http://www.gn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544372
www.gnmaeil.com%2Fnews%2Fphoto%2F202407%2F544372_555682_2111.jpg%22&type=ff120" class="se-oglink-thumbnail-resource egjs-visible" alt="" style="border: 0px; margin: 0px; padding: 0px; font: inherit; vertical-align: top; width: 110px; height: auto; min-height: 110px;" />
유우창은 김해시사 제2권 가야편에 대한 문제 제기를 역사 장사치들의 김해시사 발간 방해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강단유사사학의 모든 글이 그러하듯이 유우창의 글은 근거가 전혀 제시되지 않는다. 그가 주장하는 내용은 이덕일이 분국설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해서 가야사를 잘 알지 못하며, 이덕일은 하지도 않은 말을 했다고 하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그의 글로는 김해시사에 대해 어떠한 문제 제기가 있었고, 그러한 문제 제기가 왜 잘못이라는 것인지 도대체 알 수가 없었다.
그가 사학과 강사이므로, 그는 강단유사사학이 주장하는 가야사를 잘 아는 사람일 것이다. 그래서 그는 강단유사사학이 조선총독부 소설을 추종하여 작성한 가야사의 내용과 그에 대한 비판을 제시하고, 그 비판에 대한 설득력 있는 반론을 하기 어려울 것이다. 강단유사사학의 가야사는 근거 없는 소설에 불과하여 그에 대한 문제 제기 내용을 대중이 알면 강단유사사학은 역사로 사기 치는 사람들이란 것이 대중에게 명확히 알려질 것이며, 그는 이러한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강단유사사학의 글은 항상 모호하게 진실을 숨기고, 횡설수설로 일관한다.
일본은 백제의 별칭이고 열도는 백제의 영토였다. 「일본서기」는 백제가 열도를 지방행정구역으로 지배하다가, 백제가 망하자, 백제의 별칭인 ‘일본’으로 독립하면서 열도인을 다스릴 목적으로 가공의 역사를 기술한 문학서이다. 「일본서기」는 열도의 통치자인 일본이 백제 신라 임나 가라 등의 열도 내 마을국가를 통치하는 이야기이다. 「일본서기」의 천황은 일본의 천황이지 야마토왜의 천황은 아니다. 大倭나 大和는 야마토로 발음되지도 않는다. 일제는 『삼국지』에 나오는 가야계의 야마대국을 왜계의 나라로 날조하면서 야마토왜가 고대 열도를 지배한 나라라는 소설을 창작하였으나 「일본서기」에 대왜는 일본의 지방명에 불과함이 명백히 표시되어 있다. 열도에서도 왜계가 정권을 장악한 적은 없다. 백제가 망한 후에 열도에 최초로 국가가 성립되니 비로소 도성이 생겼다. 고대에 도성이 없는 국가는 있을 수 없는데, 나라엔 백제 멸망 시까지 도성도 왕궁도 없었다.
일제는 「일본서기」의 일본의 천황을 야마토왜의 왕으로 날조하고,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각 마을국가를 한반도의 백제 가야 신라로 날조 해석하여 야마토왜가 열도와 한반도의 가야를 통치하였다는 소설을 창작하였다. 강단유사사학은 야마토왜가 가야를 통치한 것은 아니고, 한반도 남부에 군사적 경제적으로 강한 영향을 준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면서, 그들이 임나일본부설을 극복하였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강단유사사학은 열도를 야마토왜 정권이 지배하였고, 「일본서기」의 백제 신라 임나는 한반도의 백제 신라 가야를 지칭한다고 하므로, 일제의 소설을 대부분 추종하고 있다. 일제와 강단유사사학은 「일본서기」가 한반도의 역사적 사실을 기술하고 있다는 근거로 「일본서기」의 임나가 한반도의 가야를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일본서기」의 임나는 열도내 마을국가의 이름이고, 가야는 한반도 남부의 고대국가이다. 강단유사사학은 임나=가야의 근거가 없으므로, 임나가 가야인 이유를 ‘무슨 이유에선가’라고 한다. 「일본서기」의 임나는 562년에 망했다가 591년에 다시 살아나서 신라와 싸우기도 하고 일본에 사신을 파견하기도 하고 일본이 임나에 사신을 보내기도 한다. 강단유사사학은 6세기 후반 이후 「일본서기」에 임나가 나타나는 무수한 문장에 대해 해명하지 않고 임나=가야라고 우기기만 한다.
유우창은 왜 ‘「일본서기」의 임나=한반도의 가야’인지에 대해 말하지 않고 독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말만 한다. 그는 조희승의 학설을 변형된 임나일본부설이라 해야 한다고 한다. 조희승은 야마토왜의 출장기관인 임나일본부가 열도 내의 마을국가들을 다스리는 기관이라고 하였다. 즉 일제의 임나일본부설이나 강단유사사학의 야마토왜의 남한에 대한 강력한 영향력 행사설과는 반대로 조희승은 임나는 열도에 있었다고 주장하는데, 마치 조희승의 주장이 일제의 주장과 비슷한 것인 양 호도하고 있다.
강단유사사학의 가야사와 그에 대한 비판에서 가장 핵심적 논점은 야마토왜가 한반도의 가야를 직접 통치했는가 아니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는가의 여부가 아니다. 「일본서기」에 나오는 임나가 열도에 있는 국가인가, 아니면 한반도의 가야인가가 문제이다. 즉 핵심적 쟁점은 「일본서기」의 내용이 열도의 이야기인가, 아니면 한반도 남부의 이야기인가인데, 유우창은 임나일본부의 성격이 쟁점인 것처럼 말하면서 독자를 속이고 있다. 강단유사사학의 가야사에 대해 비판론자들은 임나일본부의 성격에 대해서 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일본서기」의 내용이 한반도 남부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지엽적인 문제로 본질을 호도하고 강단유사사학의 소설 가야사의 무근거성에 대해선 구렁이 담 넘어가듯이 침묵하는 그의 탁월한 능력은 그가 곧 전임교수로 취직될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그의 앞날에 무궁한 영광을 기원한다.
0/2000자